오픈소스를 분석하다보면 잘 작성된 주석과 독스트링에 고마움을 느끼곤 한다. 잘 설명된 주석과 독스트링이 없었다면, 오픈소스를 분석하는 것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아야 했을 것이다. 이를 교훈삼아 나도 오픈소스를 개발할 때면, 주석과 독스트링 작성에 더 신경쓰게 되었던 것 같다. 해당 포스팅은 [클린코드, 이제는 파이썬이다] 저서의 일부입니다. 주석 Comment 주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# comment ''' This is several rows comment. we can explain more '''주석의 특징 코드 행 끝(인라인 주석) 보다는 새로운 행에 독자적으로 작성할 것 적절한 대문자를 포함한 하나의 문장으로 작성할 것 코드와 마찬가지로 행..